“史 교과서, 뉴라이트 3인방으로 공정·균형성 확보?”

새정치 “역사연구 세 기관장 뉴라이트 일색… 편향성, 태생적 한계 분명”

새정치민주연합이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확정 발표에 반발하며 역사교과서의 집필 전반을 주도할 역사연구 세 기관장의 전력에 대해 문제 삼았다.

김영록 새정치연합 수석대변인은 13일 “국정 역사교과서의 집필 전반에 관하여 관리·감독할 ‘교과용 도서 편찬 심의위원회’를 주도할 역사연구 세 기관장이 모두 뉴라이트 일색이라는 점에서 편향성은 이미 애초부터 지울 수 없는 태생적 한계가 분명해 보인다”고 비판했다.

역사연구 세 기관장은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김호섭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이다.

김 수석대변인은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에 대해 “국내 역사학계의 대표적인 군사독재 찬양론자로 꼽히는 인물”이라며 1982년도의 5공 교과서의 문제점을 언급했다. 당시 김 위원장은 연구원으로 집필에 참여했다.

1982년판 중·고교 역사국정교과서는 전두환 신군부에 대해 “제5공화국은 정의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모든 비능률, 모순, 비리를 척결하며, 국민의 진정한 행복을 위해 민주복지국가 건설을 지향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의 장래는 길게 빛날 것”이라고 했다.

<이미지제공 = KBS1>
<이미지제공 = KBS1>

또한 교과서는 신군부 쿠데타를 주도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에 대해서도 “혼란 속에서 북한 공산군의 남침 위기에서 벗어나고 국내 질서를 회복하기 위하여 정부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며 “사회의 안정을 좀먹던 불안요소를 제거하면서 사회 정화를 이룩하는 노력”을 했다고 찬양했다.

김호섭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에 대해서는 “정부수립일인 1948년 8월 15일을 건국절이라고 주장하고, 친일·독재 미화논란에 휩싸인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를 옹호한 인물”이라고 지적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이런 인물들이 주도하는 국정교과서가 친일교과서, 독재옹호교과서가 될 것은 불 보듯 자명하다”며 “이런 인물들이 공정성과 균형성을 확보할 것이라는 교육부의 주장은 국민을 속이는 거짓말에 지나지 않음이 똑똑히 드러났다”고 비난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의 전력을 비판했다.

전교조는 12일 성명을 통해 “5공 시절 국정 역사교과서는 12.12 정변과 광주학살을 미화했는데 당시 연구위원이 현재의 국사편찬위원장”이라며 “그는 지난 2013년 교학사 교과서의 친일·독재 미화 논란이 제기될 당시 문제의 교과서를 옹호하는 성명서에 서명했고, 국정화를 반대했던 태도를 바꾸어 지금은 이를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